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정처기] 정보처리기사 실기 독학 한 달 합격 후기

by 딸기뚜왈기 2025. 2. 10.

시험을 위해 준비한 것

▶이론 : 수제비 책 파이널 모의고사 : 모의고사 35개 있는 것 한권(서점에서 구매)

▶프로그래밍 언어 : 유튜브 흥달쌤 기본 무료강의(유투브 검색)

▶프로그래밍 언어 : 최근 5개년 정처기 실기 문제 풀이(구글 검색)

 

최소 비용 최대 효과를 위한 최소한의 투자였다.

 

 

 

시험 난이도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는 수제비 모의고사에서 예제로 본 것 보다는 확실히 어렵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이전 최근 n개년 정처기 실기로 출제된 문제보다 어려웠다.

생소한 느낌의 문제들이 있었다.

 

나는 흥달쌤 강의 내용을 상기시키며 응용해가면서 풀었다.

그래서 기본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본이 탄탄하면 응용 문제도 턱턱 잘 풀 수 있다. <-- 이런 자신감 가지는 게 좋음.

 

 

 

시험 후기 및 결과

답안을 써오지 않아서

시험 끝나고 기억에 남았던 헷갈렸던 문제들 답안을 맞춰보았다. 

헷갈렸던 것 세 개 맞춰보니 세 개 다 틀렸길래...

'망했구나' 하고 가답안 쳐다도 보지 않고 지냈다.

 

결과 나온 날도 그래서 기대도 없었다.

 

그러나 다행이도 78점으로 합격했다.

 

 

 

 

2024년 정보처리기사 3회 합격률

 

2024년 마지막 시험 합격률은

20.7%로 높지 않다.

 

 

 

 

 

시험 공부 기간

 

공부기간은 한 달.  비전공도 두 달 정도 잡으면 될 것이다. 

나는 한 달 이상 할 시간도 없어서 ... 반드시 한 달 안에 따야만 했다.

 

 

 

이론 vs 프로그래밍 언어 중요도 비중

 

이론도 중요하지만

무조건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 얼마나 더 맞추느냐의 싸움임. 

중요도를 비율로 따지면 3 : 7 정도.

공부 투자 시간도 저 정도 비율로 투자하면 적당하다 싶다.

 

나는 흥달쌤 강의는 좀 늦게 듣기 시작했지만,

웬만하면 차분히 공부 시작 단계부터 열심히 듣길 추천한다.

 

 

 

수제비 책 활용 법


수제비 책은 정답지 보면서 공부했다.

이론 익힌다 생각하며 공부했고,

이론 내용을 찾기 쉽도록 블로그에 따로 정리하며 공부했다.

 

수제비  책 모의고사 보면 서술형 문제도 나오는데,

 

최근 n개년 기출과 이번 출제 경향을 보면,

이런 형태의 서술형 문제는 이제 안 나오는 것 같다. 

 

물론 나는 첫 시험이라... 저런 문제 혹시라도 나올까 싶어서 좀 힘들게 공부하긴 했다.

2차를 준비했다면 서술형은 깔끔히 포기하고 언어 문제에 더 집중했을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공부 방법

흥달쌤 강의 + n개년 실기 문제 반복 풀기 + 챗지피티

모르는 것 나오면 챗 지피티한테 물어가며 공부했는데,

(근데 얘도 가~끔씩 틀린다. 그래서 설명해주는 것 꼼꼼이 읽어보고 다시 질문하고 해야함.

말해주는대로 다 믿으면 안됨)

 

 

 

마치며....

흥달쌤이 시험 전날 해주시는

유튜브 라이브 정리는 새벽이라도 꼭 듣고 가자.

나는 그런 정보를 접하지 못해서 못듣고 갔는데,

유튜브 댓글을 보니 쌤이 해주는 마지막 정리 덕에 "스머프 공격" 문제를 맞춘 사람이 꽤 되는 것 같았다.

정처기 실기는 한 문제 한 문제가 너무 소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