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server 구축
[FTP Sever 구축]
>종류 :
1)FTP(20, 21)<--인증,
2)Anomymous FTP(20, 21)<--인증 ID: anonymous, password:E-Mail ,
3)TFTP(69) <-- 인증x
01. 프로그램 설치
1) 서버: vsftpd
2) 클라이언트: ftp
02. 환경 설정 파일
> /etc/vsftpd/vsftpd.conf
03. 포트변경
21 --> 2121
listen_port=2121
local_max_rate=300000
04.사용자 접근 제한
> : /etc/user_list
====================================
[100번 서버]
yum -y install vsftp&
yum -y install vsftp*
yum -y install ftp
>방화벽 차단 > 안하면 접속 안됨.
[root@localhost vsftpd]# systemctl stop firewalld
[root@localhost vsftpd]# grubby --update-kernel ALL --args --selinux=0
[root@localhost vsftpd]# systemctl restart vsftpd
--> 방화벽 차단 안해서 생기는 실수를 줄이기 위해 disable 시켜버려
cd /etc/vsftp
cd /etc/vsftpd
vi vsftpd.conf
systemctl restart vsftp
systemctl restart vsftpd
[100번 새창]
# cd /home/test
[root@localhost test]# touch file1
[root@localhost test]# ll
# cd /home
# cd test
ll
listen_port=2121
local_max_rate = 300000 <-- 위 설정은 300KByte/Sec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cd /etc/vsftpd
[root@localhost vsftpd]# vi user_list
[root@localhost vsftpd]# vi ftp_users
안에 등록되어있으면 차단된다.
cd /etc/vsftpd
[root@localhost vsftpd]# vi user_list
[root@localhost vsftpd]# vi ftp_users
들어가서 root를 주석처리 해주면
접속이 허가된다.
새로운 계정 생성한 후
[root@localhost vsftpd]# useradd user1
[root@localhost vsftpd]# passwd user1
[root@localhost vsftpd]# vi user_list
[root@localhost vsftpd]# vi ftp_users
안에 넣어주면 허가되지 않는다.
ㅇ--------------------------------
[Anonymous FTP]
01.환경설정
>anonymous_enable = YES
02. 파일 업로드 설정
>anon_upload_enable=YES
> /var/ftp/pub 디렉터리 허가권 변경
#chmod 777 pub
anonymous_enable = YES
>익명접속 완료
>업로드가 안됨.
> vi vsftpd.conf 수정
[root@localhost vsftpd]# cd /var
[root@localhost var]# cd ftp
[root@localhost ftp]# chmod 777 ftp
chmod: cannot access 'ftp':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root@localhost ftp]# chmod 777 pub
#파일업로드 => 실패
사용자 : anonymous
password :
C:\>cd winnifs
#파일다운로드 => 성공
#파일 삭제 => 실패
#포트 고정하기
제어포트는 2121로 한 상태
서버 접속은 되는데
데이터는 못불러오는 상태
데이터 불러오기 위해
-=> 포트를 고정해줘야한다.
먼저 100번 서버에서 방화벽을 활성화해준다.
[root@localhost vsftpd]# systemctl restart firewalld
[root@localhost vsftpd]# vi vsftpd.conf
에서
listen_port=2121 로 한상태에서
연결 시도해보기
위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방화벽에서 원하는 포트 열어주기.
포트 고정하기.
패싱모드로 작성되는 순간.
(21번 이외의 포트로 열면)
데이터 포트를 랜덤하게 열어주기 때문에
방화벽에서 원하는 포트 열어줘야한다. => 포트 고정.
listen_port=2121
pasv_enable=YES
pasv_min_port=2020 <--
pasv_max_port=2020
만약 2050으로 하면 30개 중에 랜덤하게 잡힘
하나만 하기 위해 min max 2020으로
인증은 끝나서 서버는 들어왔지만
데이터는 여전히 불러오지 못함
방화벽에서 포트 추가하기> port =2020으로 묶어두기.(하나로 고정하기 위해)
다시 접속하면
접속 및 인증은 2121포트로 연결되고
데이터 불러오기는 2020으로 완료된다.
[SAMBA]
==================
[FTP Sever 구축]
>종류 :
1)FTP(20, 21)<--인증,
2)Anomymous FTP(20, 21)<--인증 ID: anonymous, password:E-Mail ,
3)TFTP(69) <-- 인증x
01. 프로그램 설치
1) 서버: vsftpd
2) 클라이언트: ftp
02. 환경 설정 파일
> /etc/vsftpd/vsftpd.conf
03. 포트변경
21 --> 2121
listen_port=2121
local_max_rate=300000
----------------------------------------------------------------
>제어 포트 변경 시 데이터 포트 랜덤 접속에 따른 포트 고정
>Passive Mode 작동
pasv_min_port=2020
pasv_max_port=2020
>방화벽 포트에 추가 및 적용
[root@localhost vsftpd]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21/tcp <---접속/인증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020/tcp <---데이터 불러오기
# firewall-cmd --reload
success
04.사용자 접근 제한
> 파일명: /etc/user_list <---등록된 사용자 제한
> /etc/ftpusers<---PAM로 등록된 사용자 제한
--------------------
[Anonymous FTP]
01.환경설정
>anonymous_enable = YES
02. 파일 업로드 설정
>anon_upload_enable=YES
> /var/ftp/pub 디렉터리 허가권 변경
#chmod 777 pub
03. 파일 다운로드 설정
>anon_world_readable_only=NO
04. 전송 속도 제한
>anon_max_rate=300000
05. 파일 삭제 허용
>anon_other_write_enable=YES
포트 고정하기